내장함수란?
- 내장함수란 함수의 일종으로 js에 기본적으로 생성되있는 함수들을 의미한다. 이러한 내장함수를 활용하여 개발자는 그 기능을 직접 만들지 않아도 함수를 호출하는것만으로도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. js가 제공하는 내장함수는 다양하지만 이번시간에는 그중에서 많이 쓰이는 내장함수들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
setTimeout()
- setTimeout() 함수는 시간을 설정하여 해당 시간뒤에 지정한 함수를 실행하는 함수이다. 시간을 설정할때의 단위는 ms 이며 1초는 1000ms이다.
//함수의 양식
setTimeout(함수,시간);
//함수 사용 예시
setTimeout(function(){
console.log("hello");
},1000);
setInterval()
- setInterval() 함수는 setTimeout() 과 동일하지만 지정한 시간을 간격으로 무한 반복된다는 점에서 다르다. 시간 단위는 ms로 동일하며 1초는 1000ms 이다.
//함수 양식
setInterval(함수,시간);
//함수 사용 예시
setInterval(function(){
console.log("hello");
},1000);
//1초 단위로 hello 가 계속 출력
clearInterval()
- clearInterval() 함수는 setInterval() 함수와 짝꿍이며 setInterval() 함수를 중지하는 함수이다.
//코드 양식
clearInterval(중지할interval값);
//코드 사용 예시
let hello = setInterval(function(){
console.log("hello");
},1000)
//일정시간뒤에 1번실행되는 코드
setTimeout(function(){
stopInterval();
},4001)
//interval을 중지시키는 함수
let stopInterval = () => {
clearInterval(hello);
}
//위 코드의 출력결과
hello
hello
hello
//프로그램 종료
parseInt()
- parseInt() 함수는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해주는 함수이다.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을때
// //함수 양식
parseInt(문자열);
//함수 사용 예시
let number = parseInt("93" + "12");
console.log(number);
// 9312 출력
prompt()
- prompt() 는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함수이다. 이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.
하지만 prompt() 함수를 사용할때의 주의점은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값은 문자열로 처리된다는 점이다.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2개의 숫자를 입력받고 서로 더한값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했을때 코드 및 결과는 아래와 같다.
let number1 = prompt("첫번째 번호를 입력해주세요"); //12 입력
let number2 = prompt("두번째 번호를 입력해주세요"); //34 입력
document.write("두 숫자를 더한 값: " + (number1+number2));
12와 34를 더한값은 46이다. 하지만 1234가 출력되었다. 이는 산술연산자가 데이터를 문자열로서 처리했기때문이다. 따라서 46이라는 값을 얻으려먼 parseInt()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타입을 변형해주면 된다.
let number1 = parseInt(prompt("첫번째 번호를 입력해주세요")); //12 입력
let number2 = parseInt(prompt("두번째 번호를 입력해주세요")); //34 입력
document.write("두 숫자를 더한 값: " + (number1+number2));
isNaN()
- isNaN() 함수는 매개변수로 받은 값이 NaN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참 혹은 거짓을 리턴해주는 함수이다. 조건문과 같이 쓰여져 예외처리로도 사용할 수 있다.
let nan_ture = NaN;
let nan_false = 10;
console.log(isNaN(nan_ture)); //true 출력
console.log(isNaN(nan_false)); //false 출력
isFinite()
- isFinite() 함수는 매개변수로 받은값이 무한한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참 혹은 거짓을 리턴해주는 함수이다.
let finite = 10;
let infinite = Math.pow(2,1024);
console.log(isFinite(finite)); //true 출력
console.log(isFinite(infinite)); //false 출력
eval()
- eval() 함수는 문자열로 구성된 연산식의 결과값을 반환해주는 함수이다.
//코드 양식
eval(값);
//코드 사용예시
console.log(eval(10 + 10)); // 20 출력
console.log(eval(10 * 10)); // 100 출력
console.log(eval(10 - 10)); // 0 출력
//코드 응용
let leftNum = parseInt(prompt("좌변을 입력하시오"));
let rightNum = parseInt(prompt("좌변을 입력하시오"));
let cal = prompt("연산기호를 입력하시오");
document.write("결과값: " + eval((leftNum + cal + rightNum)))
confirm()
- confirm() 함수는 사용자에게 확인 또는 취소 중 입력값을 받아 참 또는 거짓을 리턴해주는 함수이다.
//코든 양식
confirm(값);
//코드 사용 예시
if(confirm("동의하시겠습니까")){
document.write("동의하셨습니다.");
}
else{
document.write("비동의하셨습니다.");
}
alert()
- alert() 함수는 매개변수안에있는 문자열을 경고창으로 출력해주는 함수이다.
//코드 양식
alert(문자열);
//코드 사용 예시
alert("hello");
'Java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함수에대해 알아보자 (0) | 2024.04.08 |
---|---|
JavaScript 내장객체 Math에대해 알아보자 (0) | 2024.04.08 |
JavaScript 반복문에대해 알아보자 (1) | 2024.04.07 |
JavaScript 조건문에대해 알아보자 (0) | 2024.04.05 |
JavaScript 연산자에대해 알아보자. (1) | 2024.04.04 |